사업자 공동 인증서 발급 방법 및 비용
개인 및 사업자 공동 인증서 발급 방법 및 비용
2020년 12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1999년부터 신분증 역할을 했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민간의 전자서명 서비스인 민간 인증서가 도입되어 기존의 '공인'인증서 명칭이 '공동'인증서로 변경되었다.
1.개인용 인증서 종류 및 발급
민간(사설)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기관은 아래와 같이 카카오페이, KB스타뱅킹, NHN페이코, 통신사 PASS, 삼성 PASS, 네이버, 토스 등이 있는데요 기관별로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유효기간은 1~3년으로 PC, 모바일, 클라우드 모두 발급을 받을 수 있다.
2.사업자용 인증서
사업자는 금융거래를 하거나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공동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하므로 사업자용 범용인증서는 전자세금계산서, 은행업무, 전자입찰, 전자계약, 국가 R&D사업, 전자민원 등 용도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가능한 범용을 많이 발급받고 있다.
3. 사업자용 신청 발급 절차 방법
절차는 온라인에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결재한 뒤 서류를 지참하여 직접 방문하면 당일날 발급을 받을 수 있다..
필요서류는 대표자가 직접 방문하는 경우 신청서 원본과 사업자등록증 사본, 본인 신분증이 필요하며 대리인이 방문하는 경우 추가로 대리인의 신분증 사본과 인감증명서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4.사업자용 인증서 발급기관 및 비용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발급기관들이 있으며 인증서 기간은 1년, 2년, 3년형으로 나뉘며 금액은 각 기관별 할인 가격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기관별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꼼꼼히 확인 후 인증서 발급 신청하면 된다.
➊ 한국 범용 인증센터
➋ 한국 사업자인증 센터
www.kosignbiz.com
➌ 한국증권전산(주)
www.signkorea.com
➍ (주)한국무역정보통신
www.tradesign.net
➎ 한국 전자인증(주)
www.crosscert.com
➏ (주)코스콤
www.signg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