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인터넷 속도 측정 3가지 방법
요즘에는 기가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있으나 이용자 가정의 PC 나 공유기,혹은 배선등의 문제로 인해 최대 인터넷 속도가 100Mbps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가 의외로 많이 있다. 기가인터넷 약정 요금을 해 놓고 그에 걸 맞는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인터넷 속도를 체크하여 자기가 가입한 서비스와 맞게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 다음 인터넷 속도 측정 3가지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첫번째로 인터넷 속도 측정 과 접속 모드 확인이다.
자기 PC의 현재 인터넷 속도가 어느정도 되는지 측정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인터넷 속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3가지가 있다.
➊ 제일 쉬운 측정방법으로 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이 인터넷 속도를 바로 사이트를 클릭하여 간단하게 측정해 볼 수 있는 OOKLA의 테스트(Speedtest.net)이다.
아래 그림은 이 사이트를 통하여 직접 집에 있는 PC 인터넷 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참고적으로 인터넷속도 측정의 단위는 bps (bit per second 초당 전송 비트수)이며 데이터 저장공간(크기)의 단위는 byte 이다.
인터넷 속도 100메가라고 하면100Mbps로 이해 하면 될 것 같다.
이론상 100Mbps=12.5MB/s(MegaByte per second )이니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준으로 750MB를 다운받는데
60초 소요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검사 결과 좌측 상단에 있는 PING 은 응답시간, 즉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수치는 낮을수록 좋으며, 웹 핑 중에 발생하는 지연 현상이나 게임 중의 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날 경우 랜선의 배선 상태나 무선 공유기의 위치 등의 물리적인 환경에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
대략 참고적으로 데이터속도 예시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속도 |
예시 |
소요시간 |
3Mbps |
유튜브 720p(HD화질) |
버퍼링 현상 없이 볼 수 있는 가능한 속도 |
30Mbps |
2GB짜리 다운로드시 |
대략 10분 소요 |
100Mbps |
대략 3분 30초 소요 |
|
500Mbps |
대략 40초 소요 |
|
1Gbps |
대략 20초 소요 |
➋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품질측정 시스템인 'NIA 스피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플러그인이나 ActiveX를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➌ 벤치비 초고속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가 있는데 한국정보화 진흥원의 품질 측정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 속도는 측정 장소나 시간, 그리고 동시 접속자의 수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지만 500Mbps급이나 1Gbps급 기가인터넷을 유선 접속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측정 속도가 100Mbps를 넘지 못한다면 이는 사용자 시스템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IT 정보 이야기 > 유용한 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용증명서 작성시 대한법률구조 공단 사이트 활용하자 (0) | 2020.12.15 |
---|---|
2020년 개정된 부동산 세금 총정리는 국세청 사이트에서 확인하자 (0) | 2020.09.17 |
태풍이름은 어떻게 명명 되는가? (0) | 2020.08.27 |
임대인과 임차인의 법적 의무 이 정도는 알아두자 (0) | 2020.07.23 |
주택담보 대출시 집값 기준은 어떻게 결정하는가?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