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모비딕과 스타벅스
멜빌의 대표작인 '모비딕'은 1851년에 출간된 소설로, 대표적인 해양 소설 중 하나로 한때 고래잡이 선원이었던 작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된 소설이다. 처음 출간되었을 때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한 소설이었으나 그의 탄생 100주년이 지난 후 미국의 상징적 소설이 되었다.
'모비딕'은 크고 무서운 화이트 크랙의 대표적인 상징인 크랙 고래를 사냥을 통해 복잡한 인간 본성과 사회 문제를 다루고 있다.
'모비딕'은 모험 소설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 모비딕의 뜻은?
'Moby-Dick'라는 제목은 허먼 멜빌의 소설에서 주인공인 크랙 고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Moby"는 말 그대로 "화이트"나 "백색"을 나타내는 단어이며, "Dick"은 영어에서는 닉네임이나 이름으로 사용되는 흔한 용어 중 하나로 따라서 "Moby-Dick"은 "백색의 딕(혹은 디크)"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로써 크랙 고래의 특이하게 백색에 가까운 외관을 강조하며, 이 고래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제목이 되었다고 한다.
2. 모비딕 줄거리 요약
에이허브 선장이라는 강인한 성격의 인물이 머리가 흰 거대한 고래에 도전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흰 고래(모비딕)를 쫓는 선장 에이허브의 복수전을 통해 인간의 복수심을 그려내고 있다.
선장 에이허브는 복수심으로 가득 찬 흰 고래 모비딕을 사냥하기로 결심하고, 배의 마스트에 스페인 금화를 못 박아 전시하며, 모비딕을 잡는 사람한테 금화를 주겠다 하여 선원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었으며, 이 모험에 일등항해사 스타벅도 참여하게 된다.
그러나 폭풍우 속에서의 항해는 모비딕의 저주와 같이 위험하게 전개되며, 모비딕과의 첫 대면에서 에이허브는 큰 상처를 입으며, 작살로 고래를 찌르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작살줄에 온몸이 감겨 모비딕과 함께 바다에 잠겨버리고 배는 파손되고 선원들은 흩어지지만, 유일하게 살아남은 이슈마엘은 표류하다가 마침내 구조되어 살아남는다는 이야기로 이 작품은 이슈마엘의 회고록으로 마무리된다.
3. 모비딕의 숨은 이야기
스타벅스라는 이름은 허먼 멜빌의 모비딕에 등장하는 포경선 피쿼드(Pequod)호의 일등항해사 스타벅(Starbuck)에서 's'를 붙여서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초록색 로고 안에 들어있는 건 노래로 뱃사람을 흘려 잡아먹는 인어 세이렌(siren)이다.
세이렌은 고대 그리스에서는 상반신은 여자, 하반신은 새의 모습을 하고 있었으나, 후대에는 반인반어의 (반은 사람, 반은 물고기) 모습을 한 것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길거리에서 자주 만나는 미국의 상징 스타벅스가 멜빌의 모비딕에서 탄생되었다고 하니 스타벅스에서 커피 한잔과 함께 멜빌의 모비딕 소설책을 한번 읽는 것은 어떨가요?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법 23계 원교근공(遠交近攻)의 숨겨진 전략 (5) | 2024.10.26 |
---|---|
고소와 고발의 차이점 (0) | 2024.04.13 |
2023년 사자성어 견리망의(見利忘義) (0) | 2023.12.11 |
교토삼굴(狡兎三窟) 사자성어 (0) | 2023.01.03 |
구분과 구별의 차이 구별하기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