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식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
우리나라는 지난 1985년 유통기한 표시제를 도입한 후 현재까지 유통기한 일자 표시를 적용하고 있다.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섭취하기 위해서는 식품 날짜 표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식품 날짜 표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식품 날짜 표시의 종류에는 ➊ 유통기한 ➋ 소비기한 ➌ 제조일자 ➍ 품질유지기한 등 4가지 종류가 있다.
1.식품 날짜 표시는 어떻게 설정하는가?
유통 및 소비기한은 제조업자가 제품의 특성과 유통과정을 고려해 관능검사, 미생물‧이화학‧물리적 지표 측정 등 과학적인 설정 실험을 통해 제품 유통 중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기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품의 외관, 맛, 색깔, 냄새 등을 전문 요원이 오감을 통해 검사하는 방법과 대장균․식중독균 등의 미생물 검사, 수분․산도․보존료 등 화학성분 검사, 경도․비중․탁도 등 물리적 검사 등을 통해 설정한다.
2. 날짜표시를 확인하는 방법은?
날짜표시는 제품의 정보 표시면(주로 뒷면)에 유통기한 2022년 6월 30일 까지 처럼 표시된 날짜를 확인하거나, 유통기한은 전면 상단, 제조일 자은 하단 별도 표기 등의 안내에 따라 해당 날짜가 표시된 위치에서 확인하면 된다.
3. 날짜표시에 따른 보관 시 주의사항
3-1. 식품을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 내에 제품의 특성에 맞게 설정된 보관기준(냉장‧냉동‧실온)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3-2.특히, 냉장제품의 경우 0~10℃ 온도 기준을 벗어났거나 제품이 개봉된 채로 보관되었다면 해당 기간까지 제품이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
4. 유통기한이란 무엇인가?
유통기한은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으로 대부분의 식품에 적용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는 유통기한 내에 적정하게 보관하고 관리된 식품은 안심하고 먹을 수 있으며, 제조업체는 제품의 품질이나 안전성을 책임지고 보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므로 유통기한은 과학적 설정실험을 통해 측정한 식품의 품질 변화 시점보다 짧게 설정하므로, 보관기준이 잘 지켜지고 기간이 조금 초과한 것이라면 먹어도 큰 문제는 없다고 볼 수 있다.
5.소비기한이란 무엇인가?
소비기한은 규정된 보관조건에서 소비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뜻한다.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제품을 먹거나 소비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영국, 유럽연합, 캐나다, 일본, 호주 등 해외에서도 사용 중인 제도이다.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의 기한이 더 길으므로 현행 '유통기한'이 지났더라도 제품이 잘 관리되었다면, 일정 기간 섭취가 가능하다.
6.제조일자란 무엇인가?
제조일자는 장기간 보관하여도 부패 변질 우려가 낮은 설탕, 소금, 소주, 등의 식품 등에 표시되는 날짜이며, 또한 도시락, 김밥, 햄버거, 샌드위치 등 상하기 쉬운 식품에도 제조일자를 표시하고 있다.
7.품질유지기한이란 무엇인가?
품질유지기한은 제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을 말하며, 장기간 보관하는 통조림, 잼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 식품, 맥주, 밀가루 등에 적용된다. 품질유지기한 표시 대상 식품의 경우 장기간 보관하여도 급격한 품질변화나 변질의 우려가 없어 기간을 초과해 섭취하는 것은 가능하다.
8.식품별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차이 비교
유통기한은 식품의 품질 변화 시점을 기준으로 안전계수를 60~70% 정도 앞선 기간으로 설정하고, 소비기한은 80~90% 앞선 수준에서 설정하므로 상기 그림과 같이 유통기한보다 소비기한의 기간이 더 늘어난다고 볼 수 있다.
예로 들면 유통기한이 100일이라고 치면, 실제 유통기한은 이보다 짧은 60~70일이 되는 것이며,소비기한은 80~90일이 되는 것이다.
소비자들이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오해해서 아직 먹을 수 있는 식품을 폐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미 유럽연합(EU), 캐나다, 일본, 호주, 영국, 홍콩, 중국 등이 유통기한을 쓰지 않고 있으며, 미국은 유통기한을 쓰지만, 소비기한도 함께 기재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직 유통기한만 표시하고 있지만, 불필요한 음식물 낭비를 줄이기 위해 2023년 1월 1일부터는 식품기한 표시제가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바뀔 예정으로 있다.
'생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니워커 블랙 위스키 (0) | 2022.08.10 |
---|---|
스카치블루 위스키 21년산 (0) | 2022.08.06 |
소상공인 손실보상 신청방법 및 대상확인 방법 (0) | 2022.05.30 |
전용 면적,공급면적,계약면적 알아보기 (0) | 2022.04.01 |
코로나 확진자 및 동거인이 알아야 할 주요 사항 (0) | 2022.03.18 |